추석 KTX 예매, 매년 명절이 다가오면 가장 치열한 티켓 전쟁이 시작됩니다.
고향을 찾는 발걸음, 여행을 떠나는 계획 모두 KTX 예매 성공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올해도 “표를 못 구하면 어쩌지?” 하는 걱정을 줄이려면 미리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 추석 KTX 예매 일정부터 성공률을 높이는 실전 꿀팁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릴게요.
추석 KTX 예매 일정 정리
장애인·경로·국가유공자 우선 예매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우선 예매는 본격적인 시작입니다.
- 일정: 9월 15일(월)~9월 16일(화)
- 방법: 코레일톡 앱·홈페이지(9월 15일 오전 9시~), 전화 예매(9월 16일 오후 3시~)
- 노선: 경부선, 경전선, 충북선, 동해선, 중부내륙선 등
일반 승객은 이 기간에는 예매할 수 없으니 해당 대상자는 반드시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일반인 예매 일정
본격적인 2025 추석 KTX 예매는 여기서부터 시작됩니다.
- 일정: 9월 17일(수)~9월 18일(목)
- 방법: 17일 오전 7시(코레일톡 앱), 18일 오전 7시(코레일 홈페이지)
- 노선: 호남선, 전라선, 강릉선, 장항선, 중앙선, 태백선, 경춘선 등
추가로, 9월 18일 오후 3시 이후부터는 남은 좌석이 앱·홈페이지·역 창구에서 동시 판매되니 마지막 기회를 노려볼 수도 있습니다.
좌석 확보 후 반드시 확인할 결제 기한
표를 잡았다면 안심은 금물입니다. 결제를 놓치면 자동 취소되니까요.
- 예매 매수: 1인 최대 12매 (1회 최대 6매)
- 결제 기한: 9월 18일 오후 5시 ~ 9월 21일 자정
- 배려 대상자(장애인·경로·국가유공자): 전화 결제는 9월 24일까지 가능
즉, 2025 추석 KTX 예매는 좌석 확보와 결제가 세트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환불 수수료와 취소 전략
예매 후 일정 변경이 생기면 환불 수수료가 붙습니다.
- 출발 2일 전까지: 위약금 400원
- 출발 1일 전: 운임의 5%
- 당일 3시간 전: 운임의 10%
- 직전 취소: 운임의 20%
- 출발 후: 최대 70% 공제
따라서 일정이 애매하다면 취소 시점을 잘 잡아야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예매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
1. 회원가입·로그인 필수
코레일 멤버십 가입은 기본이고, 아이디·비밀번호를 저장해 두세요. 결제 카드 정보도 미리 등록하면 몇 초 차이가 성패를 가릅니다.
2. 예매 시뮬레이션 해보기
사전 체험 페이지(9월 12일 오픈)를 통해 미리 연습해 두면 실전에서 당황하지 않습니다.
3. 빠른 인터넷·여러 기기 동시 활용
- 유선 인터넷과 최신 브라우저 사용
- PC·스마트폰·태블릿 여러 기기로 동시 접속
- 크롬·엣지·사파리 등 브라우저 병행
취소표 노리는 황금 타이밍
예매 실패해도 끝난 게 아닙니다. 취소표 공략은 또 하나의 기회입니다.
- 결제 마감일 직전/직후
9월 21일(일) 자정, 9월 24일(화) 자정에 대량 취소표가 나옵니다. - 새벽 시간대 집중
23시~02시 사이, 특히 자정 직후는 예약 시스템이 갱신되면서 빈 좌석이 풀립니다. - 탑승일 하루 전·당일 아침
갑작스러운 취소가 많아 의외의 좌석을 잡을 수 있습니다. - 코레일톡 알림 기능 활용
앱 푸시 알림과 ‘빠른 예매’ 버튼으로 취소표를 몇 초 차이로 잡을 수 있습니다.
대체 전략: SRT·분할 예매
- SRT 활용: 서울–부산, 동탄–동대구 구간은 의외로 여유 좌석이 남아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분할 예매: 서울 → 대구, 대구 → 부산 식으로 끊어 예매하면 성공 확률이 높아집니다.
- 현장 발권 시도: 출발 30분 전, 역 발권기에서 갑자기 취소된 좌석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올해 달라진 점
- KTX 마일리지·할인쿠폰 사용 불가
- 동반석·유아동반석 운영 중단
- 정기권 사용 불가
- 온라인 전용 판매
즉, 2025 추석 KTX 예매는 온라인에서만 가능하니 앱과 홈페이지 접근을 반드시 준비해야 합니다.
한 줄 요약
2025 추석 KTX 예매 성공의 핵심은 사전 준비 + 취소표 리벤지전입니다.
- 예매 시작 전 미리 로그인·결제 준비
- 여러 기기와 브라우저로 동시 시도
- 취소표 황금 타이밍 노리기
- 대체 전략으로 SRT·분할 예매 활용
올해는 작은 준비가 귀성길의 큰 차이를 만듭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근로자 휴가비 지원사업 40만원 신청방법
혹시 근로자 휴가비 지원사업 들어보셨나요? 중소기업 근로자라면 올해 반드시 확인해야 할 복지 혜택 중 하나예요. 회사와 정부가 함께 여행 경비를 지원해주기 때문에 부담 없이 제대로 된 휴
bali.hobby418.com